Reptile 의 특징은 어떤 것이 있을까?
예비초1인 우리 아이가
영어유치원에서 배우는 사이언스 교재에서도 (a closer look unit B)
Reptile 의 특징에 대해서 간단히 배우고 있다.
Tortoise, turtle, snake, alligator 등이 reptile 에 속하는것인데,
Scale 로 뒤덮힌 피부를 가지고 있고, Shell을 가지고 있는 것도 있다 (Tortoise 처럼).
그리고 알을 낳는다.
예비초1일때 사이언스에서 배우는 내용은, IGCSE Bio, IB Bio 에서도 배우게 된다.
이렇게 예비초1 때 클로저룩 교재에서 배운 내용과 국제 중고등학교 올라가서 (y9 - y12) 배우는 동물의 분류 파트는 크게 달라지는 것들이 없다.
* 미국 AP 과정에서는 classification 은 자세히 배우지 않는다.
* 영국 IB 과정에서는 classification 을 자세히 배운다.
며칠전 IGCSE Biology 교재를 작성하며 정리한 reptile 의 특징들.
대부분 애기때부터 아는것이고, 새로운 것은 ectothermic 정도?
그 외에는 다 예비초1때부터 배우는 것이다. 이게 계속 반복되는 과정이 과학의 공부이다.
하나하나 차곡차곡 쌓아하는 과정이 필요.
Vertebrate 의 특징은 어떤 것이 있을까?
영어유치원 사이언스 시간에도,
Vertebrate (척추동물)들에 대해서
Fish, Amphibian, Reptile, Bird, Mammal 로 나누어 특징들을 간장히 배운다.
Amphibian 이라는 것은 좀 생소해하지만, 나머지는 그래도 특징을 잘 알고 있다.
아무래도 평소 자연관찰을 별로 안좋아했고, 동/식물 관련 책들에 큰 흥미가 없었기 때문에 크게 와닿지 않을것 같아서
계속 이야기나눠주려 노력하는 편이다.
일상생활 속에서의 과학의 탐구
예를들어 동네에 고양이가 보이면
"fur 가지고 있나?" 혼잣말 하는것처럼 은근슬쩍 질문을 던지면
"어! Fur 있네, 그러면 mammal 이다. 우리도 mammal."
이렇게 대화를 유도해보려 한다.
우리 아이도 "has fur" 라는 분류 기준을 통해 mammal or not 을 구분할 수 있게 되었다.
기본적인 Dichotomous keys 를 일상생활에서 보거나 책에서 볼 수 있는 동/식물을 구분하는 기준을 "체화"시켜주려 노력하는 편이다.
'엄마표 영어과학 STEA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치부 과학 공부 방법 (1) 과학도서 읽기 (0) | 2023.09.12 |
---|---|
거북이 Turtle? Tortoise? (0) | 2023.09.11 |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방법중 하나, Feeding cows with algae (0) | 2023.09.10 |
[엄마표 영어과학실험] STEAM실험 Walking water (0) | 2023.09.09 |
유아과학미술 - 얼음 물감 (0) | 2021.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