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안녕하세요~!

꿈꾸는 바다 거북입니다.

 

오늘은 신학기를 맞이하여 초등학교 과목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해요.

설레는 마음으로 초등학교 1학년, 2학년

이 된 어린이들은 학교에서 어떤 과목을 배우게 되냐하면, 

총 3과목을 배우게 됩니다.

국어, 수학, 통합 (그리고 창체) 을 배우게 되어요.

 

그러다가 3학년, 4학년으로 올라가면서 과목이 9과목으로 갑자기 늘어나게 되는데요.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영어, 도덕, 체육, 음악, 미술을 배우게 됩니다.

 

그리고 5학년, 6학년으로 올라가면 총 10과목이 되요.

위의 9과목에 실과가 더해져서 총 10과목이 됩니다.

 

그러니 꿈꾸는 바다거북 선생님의 주력 과목인 과학은 

초등학교 3학년부터 배우게 되는 거에요. 

 

아무래도 국/영/수에 비해서는 [과학]과목은 비중이 낮다 보니까

늘 우선순위에서 밀리게 됩니다. ^^;

초등학교 과학은 사실 어려울 것이 없습니다.

 

그렇다면...

초등 과학 선행은 어떻게 하면 될까?

저학년(초등 1학년, 2학년) - 체험, 독서 위주의 공부 

1학년, 2학년 때는 과학 원리 관련 도서 많이 읽고 

활동 위주의 체험을 많이 하면 좋을 것 같아요.

집에서 엄마표 과학 실험을 해주면 정말 좋고, 

학교 방과후로도 과학 실험 수업이 잘 되어있더라구요. 

 

집에서 어떤 실험을 해주어야 하나 고민이라면?

유투브에 여러가지 집에서도 할 수 있는 간단한 실험들이 많이 나와있으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아요.

 

https://youtu.be/RcQAb-zFlPg?si=9yGznZbgAzMYJOIV

라바 램프 - 밀도 차이를 이용한 간단한 실험

 

https://youtu.be/sNPrq43fhB8?si=OmuMQAXZJGoyKUGx

 

 

또 저희 아이는 과천과학관 회원권을 끊어서

주말에 할 것 없을 때마다 놀러 자주 가는 편이에요. 

https://www.sciencecenter.go.kr/scipia/

 

국립과천과학관

 

www.sciencecenter.go.kr

 

초등 3학년, 4학년 - 교과서 정독, 실험 위주의 공부

이렇게 체험을 통해 체득한 내용을

교과서에서 서술하는 글을 읽고 이해할 수 있는 [문해력]을 늘려주어야 해요.한국 교과 과정의 생명과학, 화학도 그렇지만미국, 유럽 교과 과정의 AP Chem, Ap Bio, IB Chem, IB Bio 에서도 문해력은 정말 중요하거든요.길게 서술되어 있는 글을 읽고 스스로 [이해]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친구와 없는 친구 사이에는 큰 학습 능력의 차이가 생겨요.이 부분은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꼭 길러주어야 한다고 생각해요.집에서 간단한 엄마표 실험을 계속 해주면서 배운 이론 - 실제 메커니즘 사이의 간극을 줄여나가면 좋아요.

 

워킹맘이라 집에서 엄마가 못해주는 환경이라면?학교 방과후를 이용하면 되지요 ^^게다가 요새는 과학 실험 공부방이나 과학 실험 학원도 굉장히 많이 있답니다.

 

초등 5학년, 6학년 - 학년 올라 가기 전에 1년 선행 공부

5학년 올라가면서부터 조금은 [과학 다운 과학]을 배우기 때문에

5학년 올라가기 전에 1년치 과정을 쉽게 싹~ 훑고 올라가시면 도움이 많이 될거에요.

6학년 올라가기 전에는 6학년 선행을 하구요 ^^

 

그리고 중학교 올라가면서부터 아이들이 과학을 조금 [어렵게] 느끼는데

초등학교 6학년 2학기때쯤 부터 중학교 과학 선행을 천천히 시작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초등 과학 Fun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과학 6학년 2학기 목차  (3) 2023.09.27
초등과학 5학년 2학기 목차  (3) 2023.09.26

+ Recent posts